WIL Spring Cacheable
사내 서비스가 커지면서 트래픽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덕분에 일이 많아졌지만,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이슈라고 생각하며 즐겁게 일하고 있다. 많은 부분을 개선할 수 있겠지만, 내가 맡은 부분은 RDS의 CPU 사용률이다.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다보니 주중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DB에 꽤나 높게 부하가 걸린다. 이번주 WIL은 이러한 부하를...
사내 서비스가 커지면서 트래픽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덕분에 일이 많아졌지만,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이슈라고 생각하며 즐겁게 일하고 있다. 많은 부분을 개선할 수 있겠지만, 내가 맡은 부분은 RDS의 CPU 사용률이다.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다보니 주중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DB에 꽤나 높게 부하가 걸린다. 이번주 WIL은 이러한 부하를...
배달앱은 어떻게 내 주변의 맛집을 찾을까? 파트1에 대한 개인적인 정리 글 입니다. MongoDB에서 지리공간 데이터 다루는 방법 MongoDB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지리공간 데이터의 처리도 예외는 아닙니다. MongoDB에서 지리공간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첫 번째 단계는 적절한 인덱스를 생성하는 ...
이번주 WIL은 FastAPI에서 의존성 주입을 어떻게 하는지 삽질의 기록이다. Dependency Injection? Dependency Injection(DI)이란? 소프트웨어 설계 패턴 중 하나로, 객체가 다른 객체의 의존성(즉, 객체가 필요로 하는 다른 객체나 리소스)을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주로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로부터 제공받는 방...
2024 2분기가 시작됐다. 평소에 공부한 것을 기록하는 습관을 만들기 위해 2분기부터 WIL를 적어보려 한다. 현재 회사에서 Python으로 서버를 구현하는 것이 있어, 강의를 몇개 듣고 있다. 4월 1주차 WIL는 파이썬 동시성 프로그래밍: 데이터 수집부터 웹 개발까지(feat. FastAPI) 의 일부를 보고 공부한 것을 정리하고자 한다. ...
gRPC 소개 gRPC(google Remote Procedure Call)란 구글에서 만든 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레임워크입니다. gRPC가 왜 등장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로세스간 통신의 역사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등장배경 RPC(Remote Procedure Call) RPC는 프로세스 간 통신을 추상화하여, 프로세스가 동일한 시스템에...
gRPC vs REST: 주요 차이점 gRPC와 REST는 여러 기본적인 유사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아키텍처 디자인, 지도 원칙, 구현 세부 사항에서 크게 다릅니다. 통신 모델 REST: 클라이언트가 단일 요청을 보내고 서버로부터 단일 응답을 기다리는 단일 요청/응답 주기를 따릅니다. gRPC: 단일 통신뿐만 아니라 서버 스트리밍, 클...
2024년 새해를 맞아 개발 블로그를 쓰기로 다짐. 2023 1년동안 나의 발자취를 기록?해본다. AI마타 2023.3 1차오픈 2022년 7월에 입사한 후 계속 해서 진행중인 프로젝트이다. java8 + jsp 로 이루어져있던 기존 마타수학 프로젝트를 Spring과 React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작업이 있었다. 나는 마이그레...
hi hello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