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Linkary 개발일지 01 - 왜 만들게 되었나

Linkary 개발일지 01 - 왜 만들게 되었나

시작 - 개인 지식 관리에 대한 고민

요즘 개인 지식 DB(PKM, Personal Knowledge Management)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정보는 넘쳐나는데, 정작 내가 저장한 건 찾기 어렵고, 연결되지 않은 채 흩어져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고자 URL을 통해 만드는 나만의 지식 도서관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Github Linkary Repository


Obsidian - 좋지만 귀찮았던 것

Obsidian을 써보니 그래프 기반으로 노트를 연결하는 방식이 정말 좋았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습니다.

“연결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 노트A

[[노트B]] 참고
[[노트C]]와 연관됨

# 결과:

- 매번 [[]] 타이핑
- 기존 노트 이름 기억해야 함
- 자동으로 연결되지 않음

→ “자동으로 연결되면 안 될까?”


내 경험 - 모바일에서의 링크 저장

저는 사실 이렇게 저장해왔습니다:

1
2
3
4
5
6
PC:
→ 브라우저 북마크

모바일:
→ 카카오톡 나에게 보내기
→ 1:1 오픈채팅방 (주제별로 분류)

장점: 공유 메뉴에서 2초 만에 저장 단점: 나중에 찾기 너무 어려움

“카톡의 편리함 + 자동 정리 + 그래프 연결 = 이게 필요하다”


기존 솔루션 조사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웹 서비스

모바일 앱 (플레이스토어)

  • Raindrop.io: 북마크 관리 + 협업 기능 App Store Link
  • Smarter Bookmarks: AI 카테고리 분류, 자동 태깅 App Store Link
  • VisiMarks: 썸네일 기반 북마크 App Store Link
  • 그 외 30개 이상의 북마크 관리 앱

Notion 활용법

YouTube에서 Notion AI로 링크 요약하기 같은 워크플로우도 발견했습니다.


공통적인 아쉬움

여러 서비스를 써보면서 느낀 점:

1. 모바일 저장이 불편함

  • 크롬 익스텐션은 PC 전용

2. 저장하고 잊어버림

  • 정리는 되지만 다시 보게 만들지 않음
  • “나중에 읽기” 큐에 쌓이기만 함

3. 관계 시각화 부재

  • 폴더/태그로 분류는 되지만
  • 링크 간 연결은 보이지 않음

Linkary - 만들고 싶은 것

핵심 컨셉

모바일/PC 모두에서 쉽게 저장하고,
자동으로 정리하고,
Obsidian처럼 그래프로 연결되는 링크 관리 도구

차별화 포인트

  1. 모바일 퍼스트: Share Sheet 통합 (카톡처럼 간편)
  2. 자동 정리: AI 기반 태깅/카테고리
  3. 자동 연결: 관련 링크 자동 그래프 생성
  4. 재발견: 주간 다이제스트로 저장한 링크 상기

기술 스택

  • Frontend: Next.js 15, React 18, TypeScript
  • Backend: FastAPI
  • 추후: AI 자동 태깅, 브라우저 확장

개발 계획

Phase 1 (MVP)

  • 기본 CRUD
  • 메타데이터 자동 추출
  • 그래프 시각화

Phase 2

  • 모바일 WebView 앱 배포
  • 공유 메뉴(Share Sheet) 저장
  • AI 자동 태깅
  • 주간 다이제스트

Phase 3

  • 브라우저 확장(원클릭 저장)
  • 자동 관계 생성
  • AI 요약 기능 고도화

마치며

기존 서비스들에서 본 자동 요약과 태깅, Obsidian에서 느낀 그래프의 힘, 그리고 내 모바일 저장 경험.

이 모든 걸 합쳐서 내가 쓰고 싶은 도구를 만들어보려 합니다.

“저장한 링크를 잊지 않고, 자동으로 연결되는 나만의 지식 도서관”

다음 개발일지에서는 실제 구현 과정을 공유하겠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